LG 그램 17 을 구매했는데, 우분투 설치 이후 LID(화면)을 닫으면 아주 잠깐 동안만 Suspend 가 유지되었다가, 자동으로 깨어나는 증상이 발생했습니다. 원인을 확인해 보니, USB 쪽의 신호가 wakeup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하여 wakeup 에서 USB 를 제외하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였습니다. 일단 자신의 PC 에서 wakeup 이 어떤 신호들에 의해서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cat /proc/acpi/wakeup LG 그램 17에 우부투 18.04 를 설치한 경우, 아래와 비슷한 조회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Device S-state Status Sysfs node LID0 S3 *enabled platform:PNP0C0D:00 PS..
기본 터미널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창분할과 다른 고급기능이 필요한 경우 대안을 찾게 됩니다. 저는 terminator, tilix 등을 주로 사용하는데, 우분투에서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터미널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한 커멘드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 $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x-terminal-emulator 위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입력하면,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 에뮬레이터들의 목록이 나오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나오네요. 아... 위 명령어 전에 tilix 라는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설치하였습니다. There are 2 choices for the alternative x-terminal-emulator (providing /usr/bi..
아래 내용은 리눅스에 한정합니다. 톰캣이 설치된 bin 폴더에 setenv.sh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 내용을 붙여 넣기한다. #!/bin/bash export CATALINA_OPTS="$CATALINA_OPTS -Dfile.encoding=UTF8 -Duser.timezone=GMT+9" 환경변수에 톰캣 구동시 사용할 옵션을 보강하는 방식으로 -Duser.timezone=GMT+9 로 설정하므로써 웹앱이 기본적으로 한국시간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최근의 프로젝트들은 모든 시간을 UTC timezone 을 사용하고, UI 에서 표시할 때만, 해당 사용자의 timezone 값을 사용하여 해당 지역의 시간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되도록이면 UTC 로 설정하도록 하는게 좋지만, 국내에 한정하여 서비스하는..
api 서버를 만들다가 보면 token 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적당한 길이의 token 을 간편하게 console 에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 openssl rand -base64 64 위와 같이 입력하면 64바이트 길이의 랜덤 key 를 생성하여 base64 코드로 화면에 출력해 줍니다.64 가 너무 길거나 짧다면 원하는 숫자를 입력하면 원하는 길이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base64 대신 -hex 로도 출력이 가능한데요. -base64 64 : CEFt58Ij9dnZZ6R1JC5LLjoULfFXf9nlLL6oktYxXVjoOILllTwPR3H3v3snvytTOHSjVombrmBKfOMepOAPmA== -hex 64 : 3d6b19e8db059e5404f5ffd..
- Total
- 734,827
- Today
- 28
- Yesterday
- 67
- 파이어폭스
- Grails
- 휴대폰
- 키보드
- install
- 개발
- nikon d2h
- Firefox
- 우분투
- AF 50mm F1.8
- Eclipse
- 리눅스
- 아두이노
- ubuntu
- Android
- 윈도우
- 사진
- 휴대폰환불
- 한글
- NC10
- 설치
- xubuntu
- java
- arduino
- 노트북
- 구입
- 안드로이드
- Nikon D70s
- 자바
- 주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