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윈도우

리눅스의 samba 공유를 외부 네트웍에서 사용하기 #1 나는 패스워드를 AIRoboform이라는 프로그램으로 관리한다. 이 프로그램에서 패스워드를 서버에 올려서 관리도 해주지만 내 패스워드가 다른 서버에 올라가 있다는게 꽤 꺼림직했다. 이런 와중에 집에 만들어 놓은 리눅스 서버의 samba를 외부네트워크에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로 samba는 내부네트워크를 위해서 만들어진 파일공유방식으로 외부네트워크에서 연결하려면 작업이 좀 필요하다.) 기본적인 개념은 다음과 같다. 1. 리눅스에서 samba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내부네트워크에서 정상적으로 파일공유가 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2. 윈도우에서 외부네트워크로 samba 서비스에 접근하는 것을 배경으로 한다. 3. 윈도우에 loopback adapter를 설치한다. 4. ssh.. 더보기
학원 컴퓨터 드라이브 클릭시 파일 연결 창이 뜨는 경우 해결 방법 학원 컴퓨터는 많은 아이들과 선생님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 저런 바이러스나 웜, 트로이 같은 프로그램이 많이 설치되어있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그중에 이번에 탐색기에서 드라이브를 이동하기 위해서 클릭하는 경우 제대로 이동하지 못하고 파일연결 창이 뜨는 경우 해결 방법이다. 다른 분이 이미 작성해 놓은 좋은 방법이 있어서 트랙백을 걸었다. http://pctech.tistory.com/89 더보기
Windows Vista Visual Effect Custom Setting 차례대로 설정한 것만 간단히 설명 1. Animate windows when minimizing and maximizing 윈도우 최소화 최대화시 에니메이션 2. Enable desktop composition 윈도우 3D Effect 사용(Aero같은 기능) 3. Enable transparent glass 윈도우 투명효과 사용(Aero) 4. Show preview and filters in folder Explorer를 위한 프리뷰 설정 5. Show thumbnails instead of icons 아이콘 대신 섬네일을 보여줌 6. Show translucent selection rectagle 선택 사각틀을 투명하게 7. Show window contents while dragging 드래그시 .. 더보기
윈도우 자동로그인 설정하기 시작 표시줄에서 실행을 눌러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 위와 같은 창이 뜨면 체크된 부분을 체크해제하고 적용을 누른다. 적용을 누르면 자동로그인을 위해서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물어보는 설정창이 뜨게 된다. 설정창에 해당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재부팅을 하면 그때부터 입력한 사용자명으로 자동로그인하게 된다. 더보기
Windows 2003 Enterprise Server에 로지텍 마우스웨어를 설치하자! 윈도우 2003 엔터프라이즈 서버에는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지 않는다. 혹자 중에 윈도우 2003 스탠다드 서버에서는 XP호환모드로 설치가 된다고 하시는 분이 계시지만, 2003 스탠다드 버전을 사용할 수 없는(?) 엔터프라이즈 사용자는 손가락만 빨고 있어야 한다. 위 설치된 화면은 윈도우 2003 엔터프라이즈 서버에서 설치해서 스크린샷을 찍은 것이다. 설치하기 위해서 윈도우에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는 순간에 환경을 저장하고 인스톨이 끝난 다음의 환경을 저장해서 비교분석해주는 프로그램, 이번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Ashampoo사에서 제작한 Ashampoo UnInstaller Platinum 2를 사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설치시 갱신되거나 생성되는 파일, 레지스트리 등을 분석해서 언인스톨시에 .. 더보기
윈도우 부팅 딜레이 & 종료 딜레이 줄이는 방법 프로파일 갱신을 줄이고, 부팅시 네트워크 연결지연을 대기하는 시간을 없애는 방법이다. 시작 -> 실행 start -> run.. 을 눌러서 실행줄에 gpedit.msc 를 입력하고 기다리면 GPEDIT가 뜬다.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 더보기
Windows 2000 이상 NT 5시스템에서 FAT32 -> NTFS 변환 CONVERT Drive: /FS:NTFS 시작 -> 실행을 누르고 drive명을 지정한후 변환을 시작한다. 단독엑세스가 되지 않는다면 리붓후 진행된다. 더보기
윈도우업데이트후 Uninstall정보 삭제하기 원본은 아이네트호스팅 에서.. 이 $NtUninstall는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 팩, 핫픽스, 경우에 따라 보안 업데이트을 설치하면 생성되는 폴더이다. 따라서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이 항목과 동일한 것들을 찾을 수 있다. 하드디스크의 용량에 부담이 없다면 그대로 두면 된다. 하지만 나 처럼 "C:"를 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하다보면 용량부족 상황에 놓으게 된다. 이경우 이 폴더의 용량도 꽤 아쉬워지는데 이때 다음과 같이 수작업으로 삭제하면 된다. 물론 수작업 삭제 이후에는 설치된 서비스 팩이나 핫 픽스를 복구할 수 없다. 각 폴더가 어떤 업데이트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http://support.microsoft.com/?kbid=XXXXXX 로 접근하면 된다. 이때 폴더 이..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