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fce 환경에서 벗어나기 힘든 이유중의 하나.. 너무 습관이 되어 버렸습니다. 1. 창 이동(alt + 마우스 왼쪽 버큰 드래그) 2. 창 사이즈 조절(alt +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드래그) 원하는 사이즈를 늘릴 모서리? 근처에서 작동합니다. (윈도우의 4분면중 가장 가까운 모서리가 확장, 축소됩니다.) 3. 창 최대화, 복원(alt + 마우스 왼쪽 버튼 더블클릭) 타이틀바가 아닌 최대화하려는 윈도우의 어떤 영역이든 상관없이 작동합니다. xubuntu 를 메인 운영체제로 사용하면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GUI 단축키+마우스 조합입니다.
highDPI 수준은 아니지만, 17인치 모니터에 2560x1600 해상도에서 96dpi 의 UI 는 꽤나 눈이 아픕니다. 쉬운 방법으로는 Appearance -> Fonts -> Custom DPI setting 을 적당히 수정하면 폰트 사이즈가 적당히 켜저서 일단은 어느정도 보기 편해지지만, 말그대로 폰트에 대한 배율이 변한 것이지 UI 수준의 배율은 변하지 않아서, 곳곳에서 눈이 아픈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모든 UI 가 적당한 배율로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가해서 검색을 해보았는데, 적당한 타협점을 찾은 듯 합니다. 사용하는 xubuntu 버전은 18.04 이고 xfce 데스크탑 환경입니다. 일단 저는 그램 17인치를 사용하는 중이고, 해상도는 2560x1600 입니다. 96dpi 인 ..
우분투를 사용하다 보면 앱이 중지되거나, 부팅시 이전에 크래쉬가 발생한 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서비스 apport 라는 기능이 들어 있다. 해당 기능으로 매번 오류사항을 전달해주면 개발자분들에게 도움이 많이 되겠지만, 좀 귀찮은 것도 있다. 하여 해당 기능을 끄고 에러보고를 하지 않도록 하는 설정을 소개한다. 터미널에서 위와 같이 에디터를 이용하여 /etc/default/apport 파일을 연다. 기본 설정값은 enable=1 인데, 위와 같이 enable=0 으로 설정하고 리부팅을 하고나면 해당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끝.
일반적으로 20장을 인쇄한다고 하면 20번째장이 면저 인쇄되고 이후 19, 18... 3, 2, 1 순으로 출력이 되어야 사용자가 보았을 때 인쇄된 용지가 순차적으로 보일 것입니다. 일종의 stack 구조와 같다고 보시면 되겠죠? 윈도우에 제공되는 각종 프린터회사들의 드라이버는 기본적으로 각자 프린터에 기본적으로 자사의 인쇄 순서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우분투는 참 그런거 하나하나 손봐야 하는 재미(?)가 있습니다. 이미지를 보면서 차분히 따라가 보겠습니다. 주의: 우분투 사용자는 Xubuntu(주분투)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한글판 사용자는 영문판과의 해석을 유의하여 보시면 됩니다. 저는 Xubuntu 영문판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메뉴에서 Setting Manager 를 선택합니다. (한글판..
간단한 명령어로 문자셋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가 존재합니다. iconv 라는 것으로 딱봐도 변환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iconv -c -f euc-kr -t utf-8 test_euckr.txt > test_utf8.txt 간단히 설명을 달아보면 -c 는 변환하겠다는 의미이고, -f 는 변환전 문자셋을 지정하는 듯 합니다. from 같은 의미인 듯 합니다. -t 는 변경할 문자셋으로 to 정도로 해석하면 되겠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변경할 파일을 뒤에 써주면 되고, 그 이후는 출력방향을 파일로 지정하여 담아내겠다는 것이죠. 뒤부분( > test_utf8.txt ) 부분을 제거하면 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끝.
하나더 올립니다. 이번에는 FTP 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기본 설치 부분인데요.. 간단히 적어보겠습니다. 별로 할 것도 없고 하니... 1. FTP 서버 프로그램 설치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vsftp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간단한 사용에 어울리게 용량도 700kb 정도로 경량에다가 설정파일도 한개만 수정하면 되므로 요녀석을 사용하겠습니다. 2. 환경설정 우분투를 이제 좀 써봤다는 분들은 위의 명령어가 뜻하는 바를 어느정도 감지하시겠지요? GUI 환경의 gedit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관리자권한(root)으로 해당 프로그램에서 지정한 conf 파일을 수정하겠다는 이야기 입니다. 열린 환경설정 파일을 간단히 설명합니다. # Example config file /etc/vsftpd.conf # # Th..
안녕하세요. 오늘은 vnc (Virtual Network Computing) 에 대한 설정을 남겨봅니다. 본 글은 여타 많은 askubuntu.com 과 각종 블로거들의 글을 검색하여 실행착오가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하자는데 취지가 있습니다. 로그인한 세션과 같은 세션을 보여주는 VNC가 생각보다 없습니다. 항상 같은 세션으로 접속할 수 있는 VNC 서버를 설정하자는 것이 이번 글의 가장 중요한 요지입니다. 1. 일단 vino 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아래 처럼 터미널을 하나 띄우고, 'vino' 까지만 입력하시고 탭(tab)키를 두번 눌러주시면 PATH가 걸려있는 디렉토리에서 색인된 파일목록을 보여줍니다. 아래처럼 vino-passwd, vino-preference 파일이 보이면 vino가 설치되..
대부분의 개발자는 caps-lock 키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를 ctrl 키나 다른 키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죠. 저는 101키 키보드를 사용하고 한영변환도 shift-space 로 할 정도로 노인네? 스타일입니다. 윈키리스 키보드를 사랑합니다만 요즘은 정말 구하기 힘이 드네요;; 일단 우분투기준으로 Win 키는 Super 키라고 부릅니다. caps-lock 키를 super 키로 변경하는 방법은 콘솔을 띄우고, 다음 명령어를 치면 됩니다. setxkbmap -option caps:super 간단하네요..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이게 로그아웃을 하거나 x-window 를 다시 시작하는 경우 설정이 날아갑니다. 사용하는 동안에만 적용된다고 보면 됩니다. 해서... 간단한 명령어를 이용한 실행파일을..
- Total
- 808,646
- Today
- 52
- Yesterday
- 48
- AF 50mm F1.8
- xubuntu
- 개발
- ubuntu
- 한글
- 휴대폰환불
- 우분투
- 파이어폭스
- 설치
- 휴대폰
- arduino
- 사진
- Eclipse
- java
- Android
- Windows
- 자바
- 윈도우
- nikon d2h
- 노트북
- 아두이노
- Nikon D70s
- NC10
- Firefox
- 키보드
- Grails
- 구입
- 안드로이드
- 주분투
- inst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