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종 hikari pool 상태[active, idle, waiting]의 connection 수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logback설정, application.properties 나 yml 설정을 통하여 HikariPool 의 로그를 출력할 수 있다. logback.xml application.properies logging.level.com.zaxxer.hikari=TRACE logging.level.com.zaxxer.hikari.HikariConfig=DEBUG application.yml logging: level: com.zaxxer.hikari.HikariConfig: DEBUG com.zaxxer.hikari: TRACE
bash 에서 ssh 이후 탭키를 누르면 .ssh 폴더 하위의 config 와 known_hosts 파일의 host 주소를 나열해 주었는데, zsh 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좀.... 이상하게 작동한다. 자신의 .zshrc 파일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추가하고 ssh 탭을 눌러보면 bash 와 동일한 completion 을 얻을 수 있다. h=() if [[ -r ~/.ssh/config ]]; then h=($h ${${${(@M)${(f)"$(cat ~/.ssh/config)"}:#Host *}#Host }:#*[*?]*}) fi if [[ -r ~/.ssh/known_hosts ]]; then h=($h ${${${(f)"$(cat ~/.ssh/known_hosts{,2} || true)"}..

xfce 환경에서 벗어나기 힘든 이유중의 하나.. 너무 습관이 되어 버렸습니다. 1. 창 이동(alt + 마우스 왼쪽 버큰 드래그) 2. 창 사이즈 조절(alt +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드래그) 원하는 사이즈를 늘릴 모서리? 근처에서 작동합니다. (윈도우의 4분면중 가장 가까운 모서리가 확장, 축소됩니다.) 3. 창 최대화, 복원(alt + 마우스 왼쪽 버튼 더블클릭) 타이틀바가 아닌 최대화하려는 윈도우의 어떤 영역이든 상관없이 작동합니다. xubuntu 를 메인 운영체제로 사용하면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GUI 단축키+마우스 조합입니다.
highDPI 수준은 아니지만, 17인치 모니터에 2560x1600 해상도에서 96dpi 의 UI 는 꽤나 눈이 아픕니다. 쉬운 방법으로는 Appearance -> Fonts -> Custom DPI setting 을 적당히 수정하면 폰트 사이즈가 적당히 켜저서 일단은 어느정도 보기 편해지지만, 말그대로 폰트에 대한 배율이 변한 것이지 UI 수준의 배율은 변하지 않아서, 곳곳에서 눈이 아픈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모든 UI 가 적당한 배율로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가해서 검색을 해보았는데, 적당한 타협점을 찾은 듯 합니다. 사용하는 xubuntu 버전은 18.04 이고 xfce 데스크탑 환경입니다. 일단 저는 그램 17인치를 사용하는 중이고, 해상도는 2560x1600 입니다. 96dpi 인 ..
GT 730 을 아직도 개발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금일 간만에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려다 보니 오래되서 기억이 잘 나지 않아서 1시간 정도 고생했습니다. 정리 들어갑니다. 1. 커널에서 nouveau 를 disable 하기 /etc/modprobe.d 폴더에 다양한 커널 설정이 있습니다. 여기에 nvidia 드라이버 설치를 위해서는 nouveau 를 사용하지 못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nvidia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해당 폴더에 nvidia-installer-disable-nouveau.conf 라는 파일을 생성해주지만, 생성된 것만으로는 kernel 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일단 nvidia-installer-disable-nouveau.conf 파일 내용입니다. # generated..
오버클럭 등으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이상한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을까 확인이 필요한 경우, stress 어플을 이용하여 과부하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stress --vm-bytes $(awk '/MemFree/{printf "%d\n", $2 * 0.9;}' < /proc/meminfo)k --vm-keep -m 1 stress -c 11 첫번째 줄은 잔여메모리의 90%를 점유하여 malloc, free 를 진행하는 테스트입니다. 두번째 줄은 cpu 사용율에 대한 테스트입니다. 두가지를 조합할 수 있습니다. PC 가 ryzen 1600 모델이여서 cpu 6 core, 12 thread 의 제품이고, 메모리를 32기가를 사용하는데, 바이오스 업데이트 이후라던가, 뭔가 이상한 오류가 발생한다고 싶으..
https://golang.org/dl/ 사이트에서 운영체제에 맞는 바이너리를 다운받아서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repository 를 이용하여 apt 명령어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쉽고, 업데이트 관리하기도 무난한 방법입니다. (물론 특정버전의 바이너리가 필요하다면, 버전을 명시해서 설치할 수도 있죠?) 여기서는 apt repository 기능을 이용하여 쉽게 golang 을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해당 내용은 https://github.com/golang/go/wiki/Ubuntu 를 참조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일단 우분투 16.04 LTS, 18.04 LTS, 18.10, 19.04 버전의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다면, PPA 를 이용하여 Go 1.12 버전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
commit 시 반영되는 user name, email 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설정을 변경하면 모든 git repository 에 대해서 적용되며, clone 한 git repository 폴더에서 개별 설정할 수 도 있습니다. 1. 전체 git repository 에 대한 글로벌 설정으로 user name, email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dante2k" 위의 명령어로 user name 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git config --global user.email "dante2k@email.com" 위의 명령어로 user email 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단일 git repository 에 대한 설정으로 user name, email 설정 설정을..
구글링하면 나오긴 하지만, 좀 중구난방이라서 정리해 놓습니다. repository 추가를 위해서는 2가지 작업이 필요한데, key 설치, respository 추가 2가지입니다. 1. apt-key 추가 wget -q -O - https://dl-ssl.google.com/linux/linux_signing_key.pub | sudo apt-key add - 2. repository 추가 sudo sh -c 'echo "deb [arch=amd64] http://dl.google.com/linux/chrome/deb/ stable main" >> /etc/apt/sources.list.d/google.list' 3. apt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4. chrome 안정버전 설치 sudo a..
- Total
- 787,082
- Today
- 27
- Yesterday
- 127
- install
- java
- ubuntu
- 한글
- 아두이노
- 휴대폰환불
- Android
- xubuntu
- 구입
- arduino
- 사진
- NC10
- Nikon D70s
- 노트북
- AF 50mm F1.8
- 파이어폭스
- 설치
- 키보드
- Windows
- Firefox
- 주분투
- 자바
- 안드로이드
- nikon d2h
- 윈도우
- Eclipse
- 휴대폰
- 우분투
- 개발
- Gr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