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NC6230 바이오스 업데이트 ver.F.0 HPQFlash for HP Notebook System BIOS (68DTA) - Windows-Based 아래와 같은 사항이 변경되었다. Enhancements Adds support for 90-watt combination adapter. Improves thermal tables to minimize fan activity by changing the F10 Setup Utility "Fan Always On on AC" option to run the fan at 20 percent power instead of 40 percent power. (This recommended setting for this option is "Enable.") This change slows down the f.. 더보기 새해다.. 하루에 한번씩 블로그에 글을 최대한 남겨보려한다. 이건 어쩔 수 없이 주말에 시골에서 보낸관계로 월요일 아침에 교육청에서 글을 쓰게 된거다. ^^ 올해를 나의 해로!!! 더보기 Notebook Hardware Control 프로그램을 살펴보자. 해당프로그램은 노트북의 전원관리와 각종 부품(하드디스크, CPU전원관리, 그래픽카드 관리)의 세세한 설정을 목적으로 한다. 일단 내 NC6230의 경우 최신판인 1.9 beta3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미심쩍은 부분이 많기는 하지만, 정확하게 어떤이유인지는 아직 찾아보지 않았다. 나중에 1.9정식판이나 나왔을 때 정확하게 판단해보기로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CPU전원관리 -AC전원과 베터리전원일때 설정사항- -각 CPU배수에 대한 전원입력을 관리- 2. 베터리 상태보기 3. 하드디스크 설정 -나의 경우는 보이지 않았다.- 4. CPU온도관리 5. ATI그래픽카드 전원관리(효율적이지도 않고, 생각보다 불안정하여 사용하지 않음.권장하지 않음) 6. 기본적 설정 전 원관리부분의 CP.. 더보기 KTFT EVER X-9000 셔터음 없애기(캠코더부분) QPST를 사용하는 방법은 웹을 검색하기 바라고 앞서 파일시스템까지 가는 방법은 사진부분을 참고하기 바란다. 캠코더는 시작음과 종료음이 존재하기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소리를 제거하는 부분을 찾아야한다. 그곳은 사진과같이 각각 4바이트로 존재하고 결과적으로 8바이트부분을 수정해야한다. 수정해야할 파일은 다음과 같다. 수정해야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수정하는 방법은 00 00 값을 다른 값으로 대체하면 되지만 나의 경우 FF FF로 바꾸기로 했다. (다른 값으로 변경했을 때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다만 FF FF는 테스트해보았다.) 이와 같이 수정하면 시작음과 종료음 모드를 없앨 수 있다. 더보기 KTFT EVER X-9000 셔터음 없애기(사진부분) QPST를 이용하여 핸드폰을 연결한다. QPST의 사용법은 많이 알려져있으므로 간단하게 생략한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후 핸드폰이 검색이 되면, 메뉴중에 Start Client -> QPST EFS Explorer를 실행한다. 일종의 파일탐색기와 같은 역할을 하며, 핸드폰의 파일시스템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물론 파일을 다운로드 하거나 업로드도 가능하다. 이 번에 해볼 것은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을 때, (동영상촬영은 번외로 한다. 다른 기능으로 다른 프로그램과 다른 설정파일이 존재하므로 별도의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발생하는 셔터음을 없애는 것이다. 그나마 X9000은 상대적으로 다른 핸드폰보다 작은 셔터음을 가지고 있지만 조용한 곳에서 촬영을 해야하는 경우, 셔터음도 상당한 양의 소음을.. 더보기 윈도우 부팅 딜레이 & 종료 딜레이 줄이는 방법 프로파일 갱신을 줄이고, 부팅시 네트워크 연결지연을 대기하는 시간을 없애는 방법이다. 시작 -> 실행 start -> run.. 을 눌러서 실행줄에 gpedit.msc 를 입력하고 기다리면 GPEDIT가 뜬다.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 더보기 나도 생각해보면.. 글을 참 안쓴다.. 흐... 더보기 Windows 2000 이상 NT 5시스템에서 FAT32 -> NTFS 변환 CONVERT Drive: /FS:NTFS 시작 -> 실행을 누르고 drive명을 지정한후 변환을 시작한다. 단독엑세스가 되지 않는다면 리붓후 진행된다. 더보기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