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FileZilla에서 한국의 FTP서버에 접속이 잘 안되는 경우 종종 FTP를 사용하는데 FTP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FileZilla를 사용한다. 이유는 역시나 무료라는 이유이다. 하지만 국내에 있는 FTP사이트를 이용하다보면 한글파일이라던지, 한글디렉토리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경우 FTP클라이언트가 FTP서버측에서 전송한 문자셋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이다. 물론 다른 상용FTP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옳바르게 자동으로 찾아서 설정해주므로 별다른 수고를 들이지 않아도 한글이 잘 표현되고, 디렉토리간의 이동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FileZilla는 그렇지 못하다. 외국 사이트는 곧잘 이용할 수 있지만 한글이 들어간 국내사이트는 이동하기가 수월하지 않다.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해당 FTP서버측의 문자셋을 정확하게 지정해.. 더보기
노트패드보다 2배 뛰어난(?) NotePad++ 간단히 프로그램코드와 HEX에디트, 간단한 문서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무료프로그램으로 오픈소스입니다. 기능은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주~~~ 뛰어납니다. 열마디 말보다 한번 홈페이지를 한번 방문해서 살펴보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몇개 말씀드려보면 기본적으로 코딩에 유용한 들여쓰기의 단락구분, API오토컴플리트, 다양한 플러그인 제공, 다양한 언어에 대한 하이라이트, 추가적이지만 오랜 코딩에 좋은 Deep blue스타일, 블랙테마 등을 제공하고 있네요. 더보기
Torrent 해외 공개 트래커 국내 토렌트 사이트에서 받는 토렌트 파일들은 거의 대부분 공개트래커가 빠진 체로 배포를 해서 다운로드시 seed/leach의 정보를 빠르게 갱신하지 않는다. 아래 공개트래커를 입력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http://tracker.prq.to/announce.php http://tracker.prq.to/announce http://tracker.thepiratebay.org/announce http://tracker.prq.to:80/announce http://tv.tracker.prq.to/announce http://tracker.bitebbs.com:6969/announce http://tracker.ydy.com:87/announce http://btfans.3322.org:6969/annou.. 더보기
4기가 미만의 PC에서 PAE기능을 끄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 이번에 넷북을 구매하고 여러가지 최적화를 적용하면서 이것이 과연 바르게 작동하고, 옳바른 지식인가를 따져보고 있던 중에 2기가 이하의 메모리만을 지원하는 넷북에서 적용해 볼만한 PAE(physical address extension)에 관한 옵션이다. PAE에 대한 한글 정보는 위키피디아에서 확인 가능하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홈페이지에서도 관련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홈페이지의 정보와 위키피디아의 정보에 따르면 4기가 이하의 시스템에서는 PAE를 별도로 사용할 이유가 없다고 나온다. 물론 DEP(Data Execution Protection)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필히 PAE가 활성화되어있어야 한다고 한다. 이렇다면 넷북에서 고민이 생긴다. 펜티엄 프로 이상의 프로세서부터 하드웨어적.. 더보기
파일이나 폴더가 삭제되지 않을 경우 - Unlocker 종종 인터넷에서 파일을 받아서 사용하다보면, 특히 리팩된 프로그램이라던지 포터블프로그램을 압축을 해제해서 사용하는 경우 파일의 권한설정때문에 파일이나 폴더가 쉽게 삭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간단하게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삭제가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다. 별다른 설정도 필요없고 간단히 context menu에 들어가서 폴더와 파일에서 오른쪽 클릭을 해서 사용한다. 최신버전의 프로그램은 제작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여기서는 오늘 날짜로 최신버전인 1.8.7버전을 홈페이지에 추가해 놓았다. 간단하게 스크린 샷을 몇장 보여주고 끝. 더보기
키보드 매핑, CapsLock -> Control 예전부터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사용하지 않는 키가 몇몇 있었다. 정말 1년을 사용해도 한번을 누를까 말까한 키들 말이다. 왜 저자리에 저렇게 크게 있어야 하는지도 궁금하고... 내가 가장 사용하지 않는 키보드의 키중에 하나가 CapsLock키이다. 다른 키로는 Break키정도? (정말 가끔 누르기는하지만 정말 사용하지 않는 듯 하다.) 키매핑 프로그램이 많이 나와있지만 뭐 내가 원하는 것은 단순히 CapsLock키를 Control키로 변환하고 싶을 뿐이라 이전부터 키매핑 프로그램도 이 윈도우의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매핑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다른 분이 만들어 놓은 매핑 레지스트리 값을 가져왔다. 압축파일에 2개의 레지스트리 파일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변환용이고 하나는 다시 되돌리는 기능을 한다. 파일.. 더보기
무설치의 가상 시디롬 그리고 2가지 기능이 추가된 isotools 그동안에 데스크탑을 사용하면서 daemon-tools의 가상시디롬 프로그램을 사용했었다. 그만큼 데스크탑에서 자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그만큼 컴퓨팅파워를 제공하는 데스크탑에서는 아무런 불편함이 없었다. 하지만 넷북에서는 좀 다르다. 메모리 1-2mb가 아쉽고 프로그램의 프로세스가 하나라도 더 적었으면 하는 심정이다. 그렇다고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아예 사용하지 않을 수는 없다. 그래서 여기에 가상시디롬역할은 하지만 항상 상주하고 항상 드라이브를 보여주는 방식이 아닌 필요할 때만 사용가능한 가상시디롬 툴과 또 다른 역할의 시디롬프로그램 2가지를 통합한 portable한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단순히 트레이 아이콘에 불타는 시디모양의 아이콘이 자리잡게 되는 것만으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구나하.. 더보기
고음질의 마이벨(MMF)을 제작해보자! 일단 필요한 프로그램 1. wav파일을 제작하기 위한 Goldwave. 2. wav파일을 mmf로 제작하기 위한 ATS-MA5-SMAF, 빈 mid샘플 파일 골드웨이브는 간단히 온라인에서 구할 수 있는 프리웨어로 mp3등의 원음파일에서 원하는 부분을 잘라내고 모노로 저장을 할 수 있고, 스펙트럼 필터를 걸어서 원하는 음질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간단히 노이즈 필터링도 거칠 수 있어서 최대한 좋은 샘플을 제작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제작한 wav파일을 주로하여 ATS-MA5-SMAF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MF변환을 거친다. 간단히 설명해서 빈 mid파일에 악기(wav)파일을 추가하고 저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간단히 진동벨도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 뭐.. 사용하는 SV390..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