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4기가 미만의 PC에서 PAE기능을 끄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 이번에 넷북을 구매하고 여러가지 최적화를 적용하면서 이것이 과연 바르게 작동하고, 옳바른 지식인가를 따져보고 있던 중에 2기가 이하의 메모리만을 지원하는 넷북에서 적용해 볼만한 PAE(physical address extension)에 관한 옵션이다. PAE에 대한 한글 정보는 위키피디아에서 확인 가능하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홈페이지에서도 관련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홈페이지의 정보와 위키피디아의 정보에 따르면 4기가 이하의 시스템에서는 PAE를 별도로 사용할 이유가 없다고 나온다. 물론 DEP(Data Execution Protection)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필히 PAE가 활성화되어있어야 한다고 한다. 이렇다면 넷북에서 고민이 생긴다. 펜티엄 프로 이상의 프로세서부터 하드웨어적.. 더보기 파일이나 폴더가 삭제되지 않을 경우 - Unlocker 종종 인터넷에서 파일을 받아서 사용하다보면, 특히 리팩된 프로그램이라던지 포터블프로그램을 압축을 해제해서 사용하는 경우 파일의 권한설정때문에 파일이나 폴더가 쉽게 삭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간단하게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삭제가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다. 별다른 설정도 필요없고 간단히 context menu에 들어가서 폴더와 파일에서 오른쪽 클릭을 해서 사용한다. 최신버전의 프로그램은 제작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여기서는 오늘 날짜로 최신버전인 1.8.7버전을 홈페이지에 추가해 놓았다. 간단하게 스크린 샷을 몇장 보여주고 끝. 더보기 키보드 매핑, CapsLock -> Control 예전부터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사용하지 않는 키가 몇몇 있었다. 정말 1년을 사용해도 한번을 누를까 말까한 키들 말이다. 왜 저자리에 저렇게 크게 있어야 하는지도 궁금하고... 내가 가장 사용하지 않는 키보드의 키중에 하나가 CapsLock키이다. 다른 키로는 Break키정도? (정말 가끔 누르기는하지만 정말 사용하지 않는 듯 하다.) 키매핑 프로그램이 많이 나와있지만 뭐 내가 원하는 것은 단순히 CapsLock키를 Control키로 변환하고 싶을 뿐이라 이전부터 키매핑 프로그램도 이 윈도우의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매핑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다른 분이 만들어 놓은 매핑 레지스트리 값을 가져왔다. 압축파일에 2개의 레지스트리 파일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변환용이고 하나는 다시 되돌리는 기능을 한다. 파일.. 더보기 무설치의 가상 시디롬 그리고 2가지 기능이 추가된 isotools 그동안에 데스크탑을 사용하면서 daemon-tools의 가상시디롬 프로그램을 사용했었다. 그만큼 데스크탑에서 자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그만큼 컴퓨팅파워를 제공하는 데스크탑에서는 아무런 불편함이 없었다. 하지만 넷북에서는 좀 다르다. 메모리 1-2mb가 아쉽고 프로그램의 프로세스가 하나라도 더 적었으면 하는 심정이다. 그렇다고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아예 사용하지 않을 수는 없다. 그래서 여기에 가상시디롬역할은 하지만 항상 상주하고 항상 드라이브를 보여주는 방식이 아닌 필요할 때만 사용가능한 가상시디롬 툴과 또 다른 역할의 시디롬프로그램 2가지를 통합한 portable한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단순히 트레이 아이콘에 불타는 시디모양의 아이콘이 자리잡게 되는 것만으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구나하.. 더보기 고음질의 마이벨(MMF)을 제작해보자! 일단 필요한 프로그램 1. wav파일을 제작하기 위한 Goldwave. 2. wav파일을 mmf로 제작하기 위한 ATS-MA5-SMAF, 빈 mid샘플 파일 골드웨이브는 간단히 온라인에서 구할 수 있는 프리웨어로 mp3등의 원음파일에서 원하는 부분을 잘라내고 모노로 저장을 할 수 있고, 스펙트럼 필터를 걸어서 원하는 음질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간단히 노이즈 필터링도 거칠 수 있어서 최대한 좋은 샘플을 제작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제작한 wav파일을 주로하여 ATS-MA5-SMAF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MF변환을 거친다. 간단히 설명해서 빈 mid파일에 악기(wav)파일을 추가하고 저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간단히 진동벨도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 뭐.. 사용하는 SV390.. 더보기 VirtualFDD에서 발생하는 이 이미지로 시스템을 재시작할 수 없습니다. 에러수정법 아마 VirtualFDD를 이용해서 Ghost를 사용하는 사용자중에 종종 저런 경우를 겪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유는 별다른게 아니다. VirtualFDD의 작동방식을 이해하면 되는데, VirtualFDD는 마스터 부팅 레코드(MBR)부분을 변경해서 FDD로 작동하는 것처럼 가상으로 FDD를 생성해준다는 것에 있다. 그렇다는 저 에러는 왜 나오는 것이냐.. 나의 경우는 백업을 뜨기위해서 VirtualFDD를 사용한다. 백업프로그램은 단연 Ghost를 주로 사용한다. Ghost를 이용한 프로세스를 작성해보면, 1. 윈도우에서 Ghost가 들어있는 부팅이미지를 VirtualFDD를 이용해서 시동한다. 2. VirtualFDD는 MBR를 수정해서 Ghost가 들어있는 FDD파일이 가상FDD로 작동하도록 설정후 .. 더보기 LG-SV390 DFS로 파일시스템 접근하기 주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변형으로 인한 책임은 모두 사용자에 있습니다. 오늘 SV390으로 번호이동을 해서 전화기를 받았다. 이전에는 LG전화기는 QPST라는 퀄컴칩을 사용하는 많은 휴대폰에 파일시스템에 접근이 가능해서 많은 어두운(?) 유저들이 이를 이용해 무료로 게임, 벨소리를 넣는 등 많은 불법이 자행되어 왔다. 이번에 나온 프로그램은 QPST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으로 그동안 QPST를 사용하지 못했던 LG전화기에 파일시스템에 접근이 가능해졌다고 한다. 이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사이트는 친절하게도 프로그램과 메뉴얼을 배포하고 있으니 관심있는 유저는 한번 둘러보는 것도 좋겠다. 나는 간단히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과연 SV390에도 접근이 가능한지, 파일 복사나 이동, 그리고 삭제가.. 더보기 Firefox Preloader 파이어폭스를 백그라운드로 메모리에 상주시켜서 초기 구동 속도를 올려주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자체는 매우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고(약 500kb미만), firefox는 애드온이나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10여메가바이트를 사용하여 메모리에 상주하는 듯하다. 이 프로그램의 단점이라면 항상 백그라운드로 파이어폭스가 작동하고 있기에, 새로운 애드온을 설치했거나 테마를 적용하였을 경우, 그것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프로그램 자체적으로 파이어폭스를 메모리에서 Unload하거나 Reload하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메뉴는 별다르게 지원하는 것이 없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작업표시줄의 tray icon만으로 실행했는지를 알 수 있다. 파이어폭스를 Unload하면 칼라아이콘이었던.. 더보기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