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우분투] nvidia 그래픽카드 PowerMizer 기능을 항상 Performance 레벨로 고정하기 기본적으로 nvidia 드라이버를 인스톨하면 PowerMizer 모드가 0으로 셋팅되어서 평상시 다운클럭으로 유지시키고 고성능이 필요한 경우 클럭을 올리는 기술로 온도제어 등에서 이로운 점이 많지만, 동영상이 끊긴다던지 하는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PowerMizer 옵션을 항상 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sudo vi /etc/X11/xorg.conf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파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부분이 보입니다. Section "Device" Identifier "Device0" Driver "nvidia" VendorName "NVIDIA Corporation" Option "NoLogo" "True" EndSection 내용은 사.. 더보기
우분투기반에서 eclipse device 에 ???? 로 기기가 정상적으로 잡히지 않는 경우 해결방법 연결되는 기기가 어떤 기기인지 인식을 정확하게 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증상으로 udev 가 접속될 때 vendorId, productId등을 명시해서 접속한 장비가 어떤 회사의 제품인지 알려주면 됩니다. 안드로이드 개발에 있어서 필수입니다. 안드로이드 개발환경을 구성하는 글은 ioriy2k 라는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의 글로 대신합니다.http://ioriy2k.pe.kr/archives/6147 위 글을 보시면 trouble shooting 글중에 하나가 제목과 관련된 해결방안을 제시한 것인데 제품항목이 다양하지 않아서 검색해보았습니다. git 허브에 잘 정리해놓은 분이 이미 계서서 git 사이트도 링크를 걸어둡니다. https://github.com/M0Rf30/android-udev-rules/blo.. 더보기
[우분투] Potalion 2710QW 모델 nvidia 드라이버 설치 이후 화면이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는 경우. 아오... DVI 연결만 있는 2560x1440 해상도의 27인치 모니터를 사용중인데 개발환경을 리눅스 개열로 변경하려고 하다보니 집의 모니터가 말썽이다. xorg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상관없지만 virtualbox 에서 3d 가속 한번 해보겠다고 nvidia 드라이버를 잡았는데 정상적으로 화면이 나오지 않는 불상사가;;; 이것때문에 우분투를 정말 쓸까말까 고민 많이 했습니다. 오늘 구글링을 통해서 외국의 같은 모델을 사용하는 분의 xorg.cfg 파일의 힘을 빌어서 드디어 nvidia 드라이버를 깔고도 2560x1440 해상도의 미려한 화면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동일한 모델을 사용하시는 분은 설정부분에서 모니터 부분을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와는 VGA(여기서는 Device)가 다를 것이 분.. 더보기
[우분투] 우분투(리눅스)에서 zip 파일 압축 해제시 한글 깨짐 문제 해결 방법 윈도우에서 개발환경을 구성했던 것을 우분투로 이전하면서 이전에 윈도우 기반에서 압축했던 파일들을 다시 압축을 풀 경우가 생겼는데 한글로 된 파일명을 갖는 압축파일을 압축 해제하면서 인코딩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여 압축파일이 정상적으로 풀리지 않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압축했던 파일의 문자인코딩형식을 알면 다행인데, 일단 윈도우 기반에서 압축했던 파일은 cp949 (euc-kr, MS949 등으로 알려진) 인코딩 캐릭터셋이라고 알려주면 됩니다. 콘솔에서 압축을 푸는 방법으로는 unzip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unzip -O cp949 위와 같이 -O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대문자 영문자 O를 사용합니다. 일단 콘솔로 위와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면 정상적으로 압축을 해.. 더보기
[Xubuntu] 키맵핑 대부분의 개발자는 caps-lock 키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를 ctrl 키나 다른 키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죠. 저는 101키 키보드를 사용하고 한영변환도 shift-space 로 할 정도로 노인네? 스타일입니다. 윈키리스 키보드를 사랑합니다만 요즘은 정말 구하기 힘이 드네요;; 일단 우분투기준으로 Win 키는 Super 키라고 부릅니다. caps-lock 키를 super 키로 변경하는 방법은 콘솔을 띄우고, 다음 명령어를 치면 됩니다. setxkbmap -option caps:super 간단하네요..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이게 로그아웃을 하거나 x-window 를 다시 시작하는 경우 설정이 날아갑니다. 사용하는 동안에만 적용된다고 보면 됩니다. 해서... 간단한 명령어를 이용한 실행파일을.. 더보기
[우분투] LibreOffice 한글 번역 인터페이스 설치하기 우분투를 사용하면서 기본적인 언어를 영어로 해놓고 사용중입니다. 여타 모든 프로그램은 영문메뉴로 그냥 사용중인데요.. 익숙하지 않은 오피스웨어를 사용해야 하는데 메뉴까지 영문이면 가뜩이나 머리가 아픈 상태인데 안되겠다 싶어 또 구글링했습니다. 저와 비슷하게 영문 OS기반에 필요한 프로그램만 한글메뉴로 사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네요;;; 일단 Ubuntu Software Center의 LibreOffice 패키지의 설명을 좀 찬찬히 읽어보았습니다. 여기에 힌트가 있었습니다. libreoffice-l10n-* 를 설치하면 UI 인터페이스를 각 나라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군요. sudo apt-get install libreoffice-l10n-ko 위와 같은 명령어를 콘솔에 입력하면 주루룩~ 한국어 UI .. 더보기
[우분투] 압축 해제시 한글이 깨지는 경우 윈도우에서 압축한 파일 중에 한글이 들어간 경우 압축 프로그램이 한글을 인식하지 못하고 이상한 문자로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캐릭터셋을 알려주면 된다. 콘솔을 이용하고, $ unzip -O cp949 '압축을 해제할 파일명>' 요런식으로 직접 압축을 풀어주면 된다. 끝. 더보기
Fragment 에서 startActivityForResult() 사용하여 onActivityResult() 로 이벤트 전달이 안되는 경우 Fragment 에서 startActivityForResult() 메소드를 사용하여 다른 엑티비티를 실행 후 결과값을 전달받는데 startActivityForResult()를 실행했던 Fragment가 아니라 부모 Activity 나 다른 Fragment에서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라던지 단순히 다른 Fragment 나 부모 Activity에서 onActivityResult() 를 override 했는데 이벤트를 타지 않는다고 투덜댈 수 있다. 하지만 Fragment 에 스펙을 찬찬히 살펴보면 Fragment 자체도 Fragment.startActivityForResult() 라는 메소드를 가지고 있다. Activitiy.startActivityForResult()를 가지고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