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 Kotlin 요청 파라메터 snake case -> camel case 로 받기 spring + java 로 구현된 레거시 프로젝트를 spring + kotlin 으로 리팩토링하면서 customer_code 같은 형태로 요청 파라메터를 받았던 부분을 request 객체를 통해서 customerCode 같은 property 로 바인딩 하고 싶어졌습니다.한방에 모든 API 의 파라메터를 camel case 로 추가하는 방법은 다른 블로그에서 소개하므로, 여기서는 하나하나 리팩토링하는 과정에서 kotlin 의 생성자 파라메터 명칭을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간단히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여 이를 간단히 설명해 보겠습니다.snake case -> camel case 한방에 : https://m.blog.naver.com/simpolor/221874168491 일단 요청 파라메터는 @Json.. 더보기 [SpringBoot] HikariPool stats log 출력 종종 hikari pool 상태[active, idle, waiting]의 connection 수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logback설정, application.properties 나 yml 설정을 통하여 HikariPool 의 로그를 출력할 수 있다. logback.xml application.properies logging.level.com.zaxxer.hikari=TRACE logging.level.com.zaxxer.hikari.HikariConfig=DEBUG application.yml logging: level: com.zaxxer.hikari.HikariConfig: DEBUG com.zaxxer.hikari: TRACE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