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리눅스의 samba 공유를 외부 네트웍에서 사용하기 #2

반응형

 2번째 글로 우분투기반의 리눅스에서 samba를 설치하고 셋팅하는 부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저의 경우 lubuntu 를 서버로 사용하고 있어 lubuntu를 기반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몇몇 이미지만 다를 뿐 설치방법은 비슷합니다.


 lubuntu의 소프트웨어를 추가로 설치하기 위한 lubuntu-software-center를 실행하고 samba로 검색하면 몇가지가 나오는데 samba를 선택합니다. (프로그램의 설치는 항상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하단의 Add to the Apps Basket 을 클릭하면 상단의 Apps Basket 으로 추가되며 Apps Basket으로 이동합니다.


 하단의 Install Packages 를 눌러서 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가 되면 이전에는 터미널에서 vi 등의 에디터를 이용하여 설정하던 것을 GUI 환경에서 samba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많이 좋은 세상이 되었네요. ^^


 위와 같이 Samba라는 항목이 시스템도구에 보입니다. 실행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대부분 시스템을 건드리는 설정변경은 관리자권한을 요구합니다. 로그인한 사용자의 암호를 입력합니다.

실행하면 위와 같은 설정창이 뜨고 공유하고 싶은 디렉토리별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저는 일단 /samroot 라는 폴더를 공유하였는데 공유명은 shared 입니다. 


 이곳에 접속하고 싶으면 \\<서버명또는아이피>\shared 라고 입력하면 /smbroot 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권한은 읽기/쓰기로 되어있습니다. 폴더를 생성, 파일 생성, 삭제가 가능한 모드입니다.


 보임부분에는 '숨김' 이라고 되었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서버명또는아이피> 로 접근하면 사용자에게 숨김 폴더와 같이 보여주지 않는다라는 의미입니다. 중요한 것은 윈도우 탐색기의 설정에 숨김 폴더 또는 파일 보이기를 켜놓더라도 보이지 않는다라는 겁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폴더이거나 한 경우 shared라는 공유명을 알지 못하면 접근이 안된다라는 의미입니다.


 뒤의 설명은 말그대로 Description입니다.


 shared 항목을 선택하고 자세한 정보를 보려면 툴바에서 네모상자안의 톱니바퀴 모양을 클릭하면 됩니다. 하나만 열어보겠습니다.


 위에 설명드린것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접근 탭의 내용을 보겠습니다.


 로그인이 가능한 사용자중에 누구에게 권한을 줄지입니다. 아래의 모든 사용자에 접근 허가를 열어주면 로그인이 가능한 모든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합니다. (samba 서버에 접속은 기본적으로 guest를 허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서버 설정을 보겠습니다.

 왼쪽은 기본설정으로 작업그룹을 workgroup으로 설정하였습니다. (xp까지는 아마 workgroup으로 되어 있고 이후 부터는 mshome인가 그럴겁니다.) 저는 전통적인 workgroup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오른쪽은 보안설정으로 Samba에 접근하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인증모드는 모두 ADS, 도메인, 서버, 공유, 사용자가 있는데요.. 저는 암호를 꼭 걸고 사용하므로 사용자를 선택하였습니다.


 이젠 어떤 사용자가 Samba 서비스를 사용할지 설정해야겠지요? 중요한 것은 Samba에서 입력받는 사용자아이디는 리눅스에 접근하는 아이디, 패스워드를 사용하여도 무방합니다만, 저의 경우 아이디는 동일하게, 암호는 다르게 사용합니다. 무슨 말인지 애매합니다만 아래 그림을 보면 금방 이해가 가실겁니다.


 메뉴 -> 설정 -> Samba 사용자... 를 클릭합니다.


 이미 한명의 사용자가 등록되어있습니다. 사용자를 선택하고 '사용자 편집'을 눌러서 오른쪽같은 사용자 편집화면을 띄워봤습니다. 보면 Unix에서 사용하는 사용자에 Samba에 접속하는 사용자를 링크?? 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저도 모르겠습니다.)


 보는 바와 같이 접속시 사용할 아이디도 패스워드도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와 완전 별개로 입력이 가능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저는 같은 아이디에 다른 패스워드를 사용합니다. (뭐 일종의 보안이죠.. 사용하는 서비스마다 다른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죠? 아니면 패스워드하나로 몽땅 똑같이 사용한다면 한방에 서버를 털리는 경우도 있을 테니까요..;; 아직 털린 경험은 전무합니다.;;)


이정도의 설정으로 Samba 설정은 마무리 하겠습니다.


 vi 에디터를 이용하던 CUI 보다 GUI 를 이용하니 눈에도 잘 들어오고 좋습니다. 물론 더 세세한 설정이 필요하다면 /etc/samba/smb.conf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되겠지만, 간단히 파일공유만 하고 싶고, 최종 목적은 외부네트워크에서 SSH 터널링 기법을 이용한 파일 공유이기 때문에 Samba는 이정도로 마치겠습니다.



2013/06/12 - [OS/Windows] - 리눅스의 samba 공유를 외부 네트웍에서 사용하기 #1


2013/11/13 - [OS/Windows] - 리눅스의 samba 공유를 외부 네트웍에서 사용하기 #3



끝.

반응형